티스토리 뷰

vrayoverridemtl

vraymtl에 입힌 재질이 반사되는 색을 설정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meterial #1에 파랑색을 넣어준 뒤, 주전자에는 흰색 재질을 넣어 주고 랜더링을 하면

 

 

해당 그림처럼 하얀 주전자에 파란색이 묻어나온다.

칼라브리딩이라고 하는 이 현상은 물론 실제 자연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색이나 렌더링할 때 저 색이 보기 싫거나

저 색을 빼달라고 하는 클라이언트가 있을 수 있다. 하여 저 반사되는 색을 바꿀 수 있다.

 

그것이 vrayoverridemtl.

 

vraymtl을 선택하여  vrayoverridemtl. . keep으로 진행해주고

gi부분에 vraymtl을 넣어주고 색을 설정해주면 된다.

 

 

 

gi부분에 하얀색(255.255.255)을 설정했을 경우.

(차이를 보여주기 위해 아주 흰색으로 햇지만 실제 사용시에는 적절하게 넣어주면 된다. 그리고 렌더링할 때 완전 하얀색과 완전 검은색은 사용하지 않는다.)

 

gi부분에 완전검은색을 설정햇을 경우.

 

차이를 보여주기 위해 완전하얀색과 검은색을 사용했지만 실 사용시는 vraymtl기본색정도로 하면 색번짐을 잡을 수 있다.

 

기본색으로 렌더링 했을 경우.

기본적인 밝기가 너무 쎼서 주전자가 너무 하애보이지만 반사되는 색이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.

 

 

 

mtlwrapper

 

mtlwrapper는 칼라브리딩 잡는용도라고 보기는 힘들 수 있으나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다. 보통은 matte를 사용하기 위해 mtlwarpper를 사용하는 것 같다.

 

먼저 기본값을 다시 한번

 

 

 

 

generateGI - 10 receive - 1

전체적으로 밝아짐.

 

generateGI - 0 receive - 1

 

overriedmtl를 완전 검은색으로 했을때와 비슷하다.

전체적으로 어두워짐

 

 

 

 

generateGI - 1 receive - 10

 

파랑벽과 바닥이 gi값을 많이 받아 overriedmtl흰색을 주었을 때와 같이 변하였으나

주전자는 변하지 않았다.

 

 

generateGI - 1 receive - 0

파랑색벽과 바닥은 변하였으나 하얀 주전자는 변하지 않았다.

 

receivegi값을 변화시키면 mtlwrapper를 적용시킨 맵만 색이 변화되고

generateGI를 변화시면 모든 맵의 색이 변화되는걸 알 수 있다.

 

 

overriedmtl 과 mtlwrapper는 칼라브리딩을 잡는 방법으로 쓰이는 스킬이지만

약간은 다른 점이 있으니 잘 알고 사용해보잣!

 

 

 

 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